우분투에서 IPv6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임시로 비활성화하기
시스템을 다시 부팅하면 IPv6가 다시 활성화됩니다.
IPv6를 임시로 비활성화
sudo sysctl -w net.ipv6.conf.all.disable_ipv6=1
sudo sysctl -w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1
이렇게 하면 현재 세션에서만 IPv6가 비활성화됩니다.
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기
시스템을 다시 부팅해도 IPv6가 비활성화됩니다.
/etc/sysctl.conf 파일을 편집
sudo vim /etc/sysctl.conf
파일의 맨 끝에 다음 라인을 추가합니다.
net.ipv6.conf.all.disable_ipv6 = 1
net.ipv6.conf.default.disable_ipv6 = 1
변경 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sysctl -p
grub 설정 편집
grub 설정 파일을 편집
sudo vim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_DEFAULT 행을 찾아 다음 옵션을 추가합니다.
ipv6.disable=1
update-grub 명령을 실행하여 grub 설정을 업데이트합니다.
sudo update-grub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NetworkManager 사용
network-manager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network-manager
nmcli connection show 명령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 목록을 확인합니다.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특정 네트워크 연결의 IPv6를 비활성화합니다.
nmcli connection modify <연결 이름> ipv6.method disabled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이제 시스템의 IPv6가 비활성화되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설정은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aft] 리눅스에서 SSH 액세스 권한 부여하기 (0) | 2025.09.25 |
---|---|
[draft] SSH 공개 키를 복사하는 스크립트 (0) | 2025.09.25 |
[draft] 우분투에서 pacemaker, corosync, pcs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 (0) | 2025.09.25 |
[draft] 우분투에서 Pacemaker와 Corosync를 사용해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방법 (0) | 2025.09.25 |
[draft] Redis를 통한 세션 클러스터링을 구현하는 방법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