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분투에서 lsyncd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간에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lsyncd를 사용하여 디렉토리 간에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방법 테스트 환경 운영체제 정보 확인 $ lsb_release -d Description: Ubuntu 22.04.2 LTS 1. lsyncd 설치 lsyncd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lsyncd 2. lsyncd 설정 파일 작성 /etc/lsyncd 디렉토리 생성 mkdir /etc/lsyncd /etc/lsyncd/lsyncd.conf.lua 파일을 작성하거나 편집하여 동기화할 디렉토리 및 옵션을 설정합니다. vim /etc/lsyncd/lsyncd.conf.lua settings { logfile = "/var/log/lsyncd/lsyncd.log", .. 더보기 리눅스에서 ulimit을 설정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ulimit을 설정하는 방법 현재 세션에서만 유효한 임시 설정 시스템 부팅 시부터 적용되는 영구 설정 1. 현재 세션에서만 유효한 임시 설정 현재 세션에서만 유효한 임시 설정은 uli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ulimit -(H 또는 S) (옵션) (값) -H는 하드 리밋을 설정하는 옵션이고, -S는 소프트 리밋을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옵션은 ulimit의 종류를 지정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nofile : 열린 파일의 최대 개수 현재 세션에서 사용자의 최대 파일 디스크립터 수를 65535로 설정합니다. 이 변경 사항은 현재 세션에서만 적용되며 세션이 종료되면 리셋됩니다. ulimit -n 65535 nproc : 프로세스의 최대 개수 현재 세션에서 사용.. 더보기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널 파라미터 튜닝하는 방법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커널 파라미터 튜닝하는 방법 웹 서버(Nginx + PHP-FPM)에서 더 많은 사용자 및 연결을 처리하기 위해 커널 파라미터를 튜닝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고 더 많은 동시 연결을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1. TCP 스택 튜닝 net.core.somaxconn : 대기 중인 연결 큐의 최대 크기를 설정합니다. net.core.netdev_max_backlog : 네트워크 장치에서 처리되지 않은 패킷의 최대 큐 길이를 설정합니다. sysctl -w net.core.somaxconn=65535 sysctl -w net.core.netdev_max_backlog=65535 2. TCP 연결 설정 튜닝 net.ipv4.tcp_max_sy.. 더보기 lsattr 명령어와 chattr 명령어 lsattr 명령어와 chattr 명령어 Linux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lsattr 명령어 lsattr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을 나열합니다. 파일 속성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특수한 권한이나 기능을 정의합니다. 기본 구문 lsattr [옵션] [파일 또는 디렉토리] 주요 옵션 -a : 모든 파일을 표시합니다. -d : 디렉토리의 속성을 표시합니다. -R : 하위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표시합니다. 사용 예시 1.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 표시 lsattr /path/to/directory $ lsattr /etc/sudoers ---------------- /etc/sudoers 2. 재귀적으로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의.. 더보기 Oh My Posh 업데이트 Oh My Posh 업데이트 Oh My Posh 업데이트 update URL : https://ohmyposh.dev/docs/installation/windows#update Oh My Posh 업데이트 명령어 winget upgrade JanDeDobbeleer.OhMyPosh -s winget Oh My Posh 버전 확인 oh-my-posh.exe --version >oh-my-posh.exe --version 18.26.1 더보기 rev 명령어 rev 명령어 rev 명령어는 텍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주는 명령어로서 주로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설치 rev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본 구문 rev [옵션] [파일] 사용 예시 1. 텍스트 역순으로 뒤집기 echo "Hello, World!" | rev $ echo "Hello, World!" | rev !dlroW ,olleH 2. 파일의 내용 역순으로 출력 rev /etc/passwd | head -n 10 $ rev /etc/passwd | head -n 10 hsab/nib/:toor/:toor:0:0:x:toor nigolon/nibs/rsu/:nibs/rsu/:nomead:1:1:x:nomead nigolon/nibs/r.. 더보기 cut 명령어 cut 명령어 cut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각 행이나 열에서 일부 텍스트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유닉스 및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주로 텍스트 처리 및 데이터 추출 작업에 유용합니다. 설치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는 보통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기본 구문 cut [옵션] [파일] 주요 옵션 -c, --characters=LIST : 특정 문자(열)을 추출합니다. -f, --fields=LIST : 특정 필드(열)을 추출합니다. 필드는 텍스트를 구분하는 구분자에 따라 정의됩니다. -d, --delimiter=DELIM : 필드를 구분하는 구분자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탭(Tab)입니다. --complement : 지정된 옵션에 반대로 동작하여 추출하지 않는 부분을 추출합니다. 사용 예시 1. 특정 .. 더보기 인터넷 속도 "100 Mbps"의 의미? 인터넷 속도 "100 Mbps"의 의미? "100 Mbps"는 초당 100 메가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연결의 대역폭(bandwidth)을 나타내며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여기에서 "Mbps"는 메가비트/초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메가비트"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비트 단위 중 하나입니다. 1 메가비트는 1,000 킬로비트(Kbps)이며, 1 비트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입니다. "100 Mbps"의 의미와 활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다운로드 및 업로드 : 초당 100 메가비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빠르게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데 유.. 더보기 이전 1 2 3 4 ··· 133 다음